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 보건행정과
- 담당팀 : 모자보건팀
- 전화 : 032-718-0429, 0438
보건소 및 건강생활지원센터(완정, 석남, 가좌, 검단)에 등록된 임산부에 한해 지원가능합니다.
지원대상
등록 절차
등록 임산부 지원내용
산전(임신초기)검사 (※임신전검사와 산전검사는 같은항목으로 연1회로 제한)
지원 절차
기본지원 대상
예외지원 대상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가" 유형)
지원대상 | 관련서류 | |
---|---|---|
기초생활 보장 |
생계급여 | 수급자증명서 (주민센터, 인터넷발급 가능) |
의료급여 | ||
주거급여 | ||
교육급여 | ||
차상위 | 차상위본인부담경감 | 차상위본인부담경감증명서 (건보공단, 인터넷발급 가능) |
차상위자활 | 자활근로참여확인서 (주민센터) | |
차상위장애인 |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수급자 확인서 (주민센터) | |
차상위자격확인 | 차상위계층 확인서 (주민센터) |
2023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50% 판정기준("통합" 유형)
가구원수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2인 | 183,861 | 142,142 | 186,476 |
3인 | 237,913 | 206,359 | 242,216 |
4인 | 291,898 | 273,699 | 299,947 |
5인 | 346,067 | 335,569 | 359,887 |
6인 | 403,785 | 402,840 | 434,962 |
7인 | 434,962 | 436,179 | 476,875 |
8인 | 521,613 | 527,523 | 563,270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한 최근 달 건강보험료 고지금액
가구원수에 태아 포함
맞벌이부부 경우 : 더 많이 납부하는 가구원 건강보험료 100% + 덜 납부하는 가구원 건강보험료 50%(단, 지역가입자인경우 사업자등록증 첨부)
2023년도 서비스 가격 및 정부지원금(※ 서비스가격 - 정부지원금 = 이용자 본인부담금)
구분 | 서비스 기간(단위:일) | 서비스 가격(단위 : 천원) | 정부지원금(단위 : 천원) | |||||||||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
단태아 | 첫째아 | A-가-➀형 | 자격확인 | 5 | 10 | 15 | 664 | 1,328 | 1,992 |
598 |
1,062 | 1,394 |
A-통합-➀형 | 150% 이하 | 518 | 916 | 1,195 | ||||||||
A-라-➀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418 | 704 | 956 | ||||||||
둘째아 | A-가-➁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328 | 1,992 | 2,656 | 1,222 | 1,633 | 1,912 | |
A-통합-➁형 | 150% 이하 | 1,062 | 1,394 | 1,620 | ||||||||
A-라-➁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863 | 1,096 | 1,328 | ||||||||
셋째아 이상 |
A-가-➂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328 | 1,992 | 2,656 | 1,248 | 1,673 | 1,965 | |
A-통합-➂형 | 150% 이하 | 1,089 | 1,414 | 1,647 | ||||||||
A-라-➂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890 | 1,135 | 1,381 | ||||||||
쌍태아 or 중증장애인+단태아 |
인력 1명 |
B-가-➀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656 | 2,484 | 3,312 | 1,590 | 2,136 | 2,517 |
B-통합-➀형 | 150% 이하 | 1,424 | 1,863 | 2,219 | ||||||||
B-라-➀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1,159 | 1,466 | 1,788 | ||||||||
인력 2명 |
B-가-➁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2,324 | 3,486 | 4,648 | 2,136 | 2,847 | 3,517 | |
B-통합-➁형 | 150% 이하 | 1,939 | 2,596 | 3,216 | ||||||||
B-라-➁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1,645 | 2,220 | 2,764 | ||||||||
삼태아 이상 or 중증장애인+쌍태아 |
인력 2명 |
C-가형 | 자격확인 | 15 | 20 | 25 | 3,984 | 5,312 | 6,640 | 3,904 | 4,781 | 5,445 |
C-통합형 | 150% 이하 | 3,586 | 4,250 | 4,980 | ||||||||
C-라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3,068 | 3,665 | 4,316 |
신청기간
신청서류 : 신분증, 산모수첩, 건강보험자격확인서, 건강보험납부확인서(맞벌이 경우 부부각각)
산모도우미 서비스 유효기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 일부 지원사업
구분 |
서비스 기간 (단위:일) |
서비스 가격 (단위 : 천원) |
인천시 지원금 (단위 : 천원) |
|||||||||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
단태아 | 첫째아 | A-가-➀형 | 자격확인 | 5 | 10 | 15 | 664 | 1,328 | 1,992 | 18 | 171 | 171 |
A-통합-➀형 | 150% 이하 | 88 | 177 | 177 | ||||||||
A-라-➀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176 | 232 | 232 | ||||||||
둘째아 | A-가-➁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328 | 1,992 | 2,656 | 0 | 179 | 179 | |
A-통합-➁형 | 150% 이하 | 150 | 196 | 196 | ||||||||
A-라-➁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194 | 258 | 258 | ||||||||
셋째아 이상 |
A-가-➂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328 | 1,992 | 2,656 | 80 | 287 | 287 | |
A-통합-➂형 | 150% 이하 | 239 | 520 | 520 | ||||||||
A-라-➂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438 | 771 | 771 | ||||||||
쌍태아 or 중증장애인+단태아 |
인력 1명 |
B-가-➀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656 | 2,484 | 3,312 | 0 | 174 | 174 |
B-통합-➀형 | 150% 이하 | 84 | 284 | 284 | ||||||||
B-라-➀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277 | 343 | 343 | ||||||||
인력 2명 |
B-가-➁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2,324 | 3,486 | 4,648 | 0 | 174 | 174 | |
B-통합-➁형 | 150% 이하 | 84 | 284 | 284 | ||||||||
B-라-➁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277 | 343 | 343 |
구비서류 : 본인부담금 납부영수증, 통장사본(산모 명의), 신청서(다운로드)
지원대상
(소득기준) 기준소득기준 180%이하 가구의 임산부
(질환기준)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받은 임산부
임산부 의료비 지원대상 질환별 지원기준
질환명 | 질환코드 | 한글명 | 지원기간 |
---|---|---|---|
1. 조기 진통 | O60 | 조기진통 및 분만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 |
2. 분만관련 출혈 | O67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분만중 출혈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
O72 | 분만후 출혈 | ||
3. 중증 임신중독증 | O11 | 만성 고혈압에 겹친 전자간 | |
O14 | 전자간 | ||
O15 | 자간 | ||
4. 양막의 조기파열 | O42 | 양막의 조기파열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 |
5. 태반조기박리 | O45 | 태반의 조기분리[태반조기박리]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
6. 전치태반 | O44 | 전치태반 | |
O69.4 | 전치맥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전치맥관으로부터의 출혈 |
||
7. 절박 유산 | O20.0 | 절박유산 | |
8. 양수과다증 | O40 | 양수과다증 | |
9. 양수과소증 | O41.0 | 양수과소증 | |
10. 분만전 출혈 | O46 | 분만전 출혈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
11. 자궁경부무력증 | O34.3 | 자궁경관부전에 대한 산모관리 | |
12. 고혈압 | O10 |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
O13 | 임신[임신-유발]고혈압 | ||
O16 | 상세불명의 산모고혈압 | ||
13. 다태임신 | O30 | 다태임신 | |
O31 | 다태임신에 특이한 합병증 | ||
14. 당뇨병 | O24 | 임신중 당뇨병 | |
15.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 O21.1 |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 |
16. 신질환 | N00-N23** | N00-N08(사구체질환) N10-N16(신세뇨관-간질질환) N17-N19(신부전) N20-N23(요로결석증) |
|
17. 심부전 | I00-I52** | I00-I02(급성 류마티스열) I05-I09(만성 류마티스심장질환) I10-I15(고혈압성 질환) I20-I25(허혈심장질환) I26-I28(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 I30-I52(기타 형태의 심장병) |
|
18. 자궁내 성장제한 | O36.5 | 태아성장불량에 대한 산모관리 | |
19.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 O23.5 | 임신중 생식관의 감염 | |
O34.0 | 자궁의 선천기형에 대한 산모관리 | ||
O34.1 | 자궁체부종양에 대한 산모관리 | ||
O34.4 | 자궁경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 ||
O34.8 | 골반기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 ||
O41.1 | 양막낭 및 양막의 감염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80% 판정기준(2023년)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6,222,000 | 222,624 | 187,378 | 226,361 |
3인 | 7,983,000 | 284,769 | 264,991 | 291,898 |
4인 | 9,722,000 | 346,067 | 335,569 | 359,887 |
5인 | 11,396,000 | 434,962 | 436,179 | 476,875 |
6인 | 13,011,000 | 476,875 | 481,248 | 521,613 |
7인 | 14,594,000 | 521,613 | 527,523 | 563,270 |
8인 | 16,177,000 | 625,329 | 628,210 | 729,187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맞벌이 부부 : 건강보험료 높은 배우자의 보험료 100% + 건강보험료 낮은 배우자의 보험료 50%
지원내용
※ 지원 제외 : 입원료, 식대, 한방 치료 관련 진료비, 고위험 임신질환 치료와 관련 없는 진료비, 보조기·의료기기 및 의료소모품 구입비 등
신청기간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방법
임산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e-health.go.kr), 신청
※ 진단서 등 비용이 발생하는 서류를 발급받기 전, 반드시 영수증 및 세부내역서를 확인하여 지원금액을 사전에 확인해야 함
구비서류
지원대상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내용
지원방법
"국민행복카드"에 1인당 지원금액 바우처 포인트 지급
신청장소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주민센터, 복지로(www.bokjiro.go.kr) 사이트
신청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