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동아리의 개념
학습동아리는 같은 주제에 관심이 있는 성인들이 함께 모여 공부하는 소모임을 지칭한다.
보통 10명 내외의 성인들이 둥근 테이블에 둘러앉아 관심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이는 모습이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장면이다.
나라마다 또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본래는 같은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시민들이 함께 부딪치는 문제에 대하여 공동의 해결방안을 찾거나 생각해 보는 사회적 이슈 중심의 토의가 일반적이다.
여기서의 학습동아리는 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쓰여, 주제 특성의 제한없이 성인들이 스스로의 뜻에 따라 함께 배우고 토론하는 소모임을 지칭한다. 주제의 내용이든, 궁극적으로 모든 학습동아리 활동은 나 혼자만의 삶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사회를 지향한다.
유사어로는 스웨덴이나 미국에서의 스터디서클(study circle)또는 호주의 학습서클(learning circle), 일본의 자주그룹(自主 group)등이 있다.
학습동아리의 정의
소모임과 학습동아리의 차이
일반적으로 소모임은 목적이나 활동내용의 제한이 없이 주로 친목과 상호교류를 위한 성인들의 자발적인 모임 모두를 지칭하지만, 학습동아리는 소모임 중에서도 “학습”과 “토론”을 목적으로 모여 개인의 성찰과 집단의 성장을 추구하는 “함께 생각하고 실천하는 공동체”를 말한다.
동아리와 학습동아리의 차이
학습동아리는 흔히 동아리라고 부르는 활동 중심 소모임과도 다르다. 공통의 문화활동, 취미생활 등을 공유하는 동아리는 보통 인원의 제한이 없으며, 활동 자체를 즐기고 친목을 도모하려는 목적이 크다. 학습동아리는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목적과 주체의식이 보다 분명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학습동아리는 학습의 목적 및 그 학습의 특성과 의미에 따라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문제해결형, 지역사회봉사형 등의 네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학습동아리는 각각 독자적인 특성을 지니면서도 복합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즉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문제해결형, 지역사회봉사형의 특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겹쳐서 나타난다. 이 네 유형은 학습동아리의 발전 단계가 될 수도 있으나 직접 문제해결형의 학습동아리로 출발하는 경우도 있어서, 학습동아리의 전개과정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
구분 | 학습목적 | 주체특성 | 운영방식 | 학습방법 | 학습지향점 | 리더의역할 |
---|---|---|---|---|---|---|
심화 학습형 |
심층지식 및 기술 습득 |
개인능력신장 | 리더 강사중심 |
초빙 강의 및 독서토론 중심 |
개개인의 특정주체 영역의 심층지식과 기술 습득 |
운영실무 총괄(강사섭외, 자료준비, 참여자동원 및 독려) |
전문 탐구형 |
전문영역별 선택주제에 대한 공동토의와 탐구 |
전문가로서 전문능력 함양과 생성적 전문능력 재생산 |
참여자 중심 |
내부자 강의 및 정보교류, 연구토론 | 전문지식 습득, 지식 생성, 전문지식 보급 | 기획 및 토론 촉진자 역할 수행 |
문제 해결형 |
지역사회, 구성원의 당면문제 혹은 장기과제 해결 |
사회문제,구성원의당면문제 | 리더 또는참여자 중심 |
문제해결중심 토론과 성찰 |
실천을 통한 문제해결 및 대안제시 |
실천적 전략가, 조직가,토론 및 성찰의 촉진자 |
지역사회 봉사형 |
학습을 통한지역사회자원활동 전개 |
잠재능력개발 및 봉사의식 제고 | 참여자 중심 |
초빙강의, 토론, 자원활동연계 | 자원활동을 위한 학습과 성찰 | 강사 및 자원활동 섭외 및 학습촉진자 |
학습자 입장에서 중요성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중요성
기관 차원에서의 중요성
실천성
‘배운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 지식, 기술, 태도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완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학습자들이 스스로 알고 깨친 것을 생활 속에 적응하고실천하는 과정을 거칠 때 비로소 ‘배움’은은 완결된다. 앎과 삶이 일치하며, 모든 배움이 실천으로 곧 전환하는 장이 될 수 있는 생활 공동체는 바로 학습동아리가 추구하는 가장 궁극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개방성
학습동아리라는 조직체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의 지식, 사람, 조직 모두 열려 있는 개방적인 체제이다. 학습동아리에서 논의되고 전해지는 지식은 고정된 텍스트 안에서 전수되기를 기다리는 공식 지식이 아니라, 동아리의 학습과정 안에서 새롭게 정의되고 만들어지는 열린 지식이다.
온라인 등록 신청후 제출서류를 서구청 교육혁신과 평생학습팀으로 방문 혹은 우편접수 하시면 됩니다.